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우리글의 옳은 가르침은 여기에 있습니다.

(일반)대학원에는 일반 전형과 특별 전형이 있습니다. 일반 전형은 타 대학의 대학원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전형으로 사범대 졸업생 및 그 외 국어교육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대학 졸업자들이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일반 전형은 파견 근무와 다르기 때문에 시도 교육감 및 학교장의 추천을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일반대학원 특별 전형(특차 전형 포함)은 현장 교사분들의 파견 근무를 말합니다. 파견 근무이므로 현직 교사만 지원 가능합니다. 현직 교사로서 시도 교육감 및 학교장의 추천을 받으면 파견 근무 즉, 특별 전형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전공 필답 고사와 면접 및 구술시험을 통해 선발됩니다. 

우리 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에는 초등국어교육전공, 국어교육전공, 한문교육전공, 한국어교육전공이 있습니다. 초등국어·국어·한문교육전공은 일반·특별 전형을, 한국어교육전공은 일반 전형을 모집합니다.

일반 전형 국어교육 석사과정에는 관련 학과 전공자가 2급 국어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교직 과정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또 한국어교육 전공 시 국립국어원에서 정한 교과목을 이수하면 졸업 후 한국어교원 2급 자격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2024학년도 입학부터 일반 전형은 면접 및 구술고사를 통해 선발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입학안내 홈페이지(http://gradent.knue.ac.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한 입학 전 학점 인정 여부 확인

대학원 입학자 중 교원자격증 취득을 희망하는 분은 「관련학과 판단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1) 입학 전 대학 및 대학원 등에서 취득한 전공 및 교직과목 30학점 이상(전공과목은 20학점 이상 반드시 포함)을 인정 받아야 합니다.(인정 받을 교직과목이 없는 경우, 전공과목으로 30학점 이상 인정 받아야 함)

2) 입학 원서 제출 전에 「관련학과 판단 기준」 충족 여부를 확인 받아야 합니다.

 

가. 학점 인정 여부 확인 절차

1) 인정받고자 하는 학부(대학원) 성적증명서 원본 준비

2) 성적증명서를 jpg 혹은 pdf 파일의 형태로 스캔

3) 스캔한 성적증명서 이메일 송부(rnrdj3517@knue.ac.kr)

4) 학점 인정 신청 가능 교과목 목록 확인 후 각 과목 강의계획서를 첨부하여 해당 교수님께 문의

 

나. 기타

1) 졸업예정자의 경우 현재 수강하고 있는 교과목을 기재해서 보내시면 함께 확인해 드립니다.(이수구분 표기 필수)

2) 성적증명서에는 각 교과목의 이수구분이 명확히 표기되어 있어야 합니다.

3) 해당 교과목의 담당 교수님께 학점 인정 여부를 확인 받아야 하므로 원서 접수 마감 전 여유를 두고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교수님의 메일 주소는 '학과안내-학부교수님소개' 메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일반전형 면접·구술 고사는 참고 도서와 기출 문제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석사 특별전형 필답고사 준비

가. 전공 영역 참고 도서 구입

전공 영역 참고 도서 중 일부는 시중 서점에서 판매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교원대 구내 서점(전화 번호 : 043-230-3899)에서 직접 구입하시거나 전화하셔서 우편으로 주문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구입 문의는 교원대 구내 서점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나. 전공 영역 기출 문제

기출문제는 대학원 홈페이지(http://grad.knue.ac.kr)의 입학정보 코너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 전공 영역 참고 도서의 확인

전공 영역의 참고 도서는 매해 일부분 수정되며, 그 목록을 본 누리집에 게시하고 있습니다.

일부 제시된 참고 문헌을 다 보아야 하느냐고 질문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와 유사한 질문에 대해서는 일절 답변이 없을 것입니다. 또한 공부 방법이나 출제 경향 등 출제에 관련된 어떠한 질문도 받지 않습니다. 이 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의 전공 영역 문제는 일반적으로 다르게 출제됩니다. 이와 유사한 내용의 질문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라. 초등국어교육 전공 응시 영역 관련

2015학년도 입학 전형부터 초등국어교육 전공의 응시 영역이 변경되었습니다. 문제 출제는 초등교과교육학, 국어학, 고전문학, 현대문학 네 교과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각 교과 분야 당 여러 개의 세부 영역 문제가 있습니다. 네 개의 교과 분야 중 서로 다른 두 개의 교과 분야를 선택하시어 한 문제씩 풀면 됩니다.

※ 주의: 동일 교과 분야의 세부 영역 두 문제 선택은 불가합니다. 

예) 교과교육학(초등국어교육학1) + 국어학(음운론1) → 다른 두 교과 분야의 세부 영역 문제 1문항씩 ( O )

     교과교육학(초등국어교육학1) +  현대문학(현대소설1) → 다른 두 교과 분야의 세부 영역 문제 1문항씩 ( O )

     국어학(음운론1) + 국어학(어휘론1) → 동일한 교과분야의 세부 영역 문제 2문항 ( X )

 

마. 국어교육 전공 응시 영역 관련

2024학년도 입학 전형부터 국어교육 전공의 응시 영역이 변경되었습니다. 문제 출제는 교과교육학, 국어학, 고전문학, 현대문학 네 교과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각 교과 분야 당 여러 개의 세부 영역 문제가 있습니다. 네 개의 교과 분야 중 서로 다른 두 개의 교과 분야를 선택하시어 한 문제씩 풀면 됩니다.

※ 주의: 동일 교과 분야의 세부 영역 두 문제 선택은 불가합니다. 

예) 교과교육학(국어교육학1) + 국어학(음운론1) → 다른 두 교과 분야의 세부 영역 문제 1문항씩 ( O )

     교과교육학(국어교육학1) + 현대문학(현대소설1) → 다른 두 교과 분야의 세부 영역 문제 1문항씩 ( O )

     국어학(음운론1) + 국어학(어휘론1) → 동일한 교과분야의 세부 영역 문제 2문항 ( X )

 

 

전공 필답고사 참고 자료 (2025학년도 입학 전형)

▶ 초등국어교육 전공 ◀

초등국어교육전공 필답고사 참고 자료
교과 분야 세부 영역 참고도서
교과
교육학
초등국어교육학
  • - 이경화 외(2024), 초등 국어과 교육론, 박이정.
  • - 김서정 역(2001),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 1, 시공주니어.
국어학 국어사
중세국어
  • - 고영근(2020), 제4판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 - 김유범 외(2020), 훈민정음 해례본, 역락.
음운론
  • - 이문규(2015), (국어 교육을 위한) 현대국어 음운론<개정판>, 한국문화사.

어휘론

  • - 최경봉 외(2020), 한국어 어휘론, 한국문화사.
고전문학 고전시가
  • - 성기옥·손종흠(2006), 고전시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고전산문

 

- 박기용(2008), 초등 국어과 구비문학의 이해와 교육, 월인.

 

현대문학 현대소설
  • - 나병철(1998),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 - 권영민(2020),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현대시
  • - 오세영 외(2007), 한국 현대시사, 민음사.

▶ 국어교육 전공 ◀

국어교육전공 필답고사 참고 자료
교과 분야 세부 영역 참고도서
교과
교육학
국어교육학
  • - 최숙기(2011), 중학생의 읽기 발달을 위한 읽기 교육 방법론, 역락.
  • - 박영민 외(2016), 작문교육론, 역락.
국어학 국어사
중세국어
  • - 고영근(2020), 제4판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 - 김유범 외(2020), 훈민정음 해례본, 역락.
음운론
  • - 이문규(2015), (국어 교육을 위한) 현대 국어 음운론<개정판>, 한국문화사.

어휘론

  • - 최경봉 외(2020), 한국어 어휘론, 한국문화사.
고전문학 고전시가
  • - 성기옥·손종흠(2006), 고전시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고전산문

 

- 한국고소설학회 편저(2019), 한국고소설강의, 돌베개.

 

현대문학 현대소설
  • - 나병철(1998),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 - 권영민(2020),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현대시
  • - 오세영 외(2007), 한국 현대시사, 민음사.

▶ 한문교육 전공 ◀

한문교육전공 필답고사 참고 자료
교과 분야 세부 영역 참고도서
교과
교육학
한문교육
  • - 김왕규·김동규 편(2012), 한문교육학연구방법론, 보고사.
교과
내용학
한문학
  • - 박희병(2006), 연암을 읽는다, 돌베개.